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연준이 양적긴축(QT)을 단행하는 방법 (현 상황을 중심으로) Feat. 장기채, 단기채 투자 미국 연준이 몇 개월 간 긴축을 해왔고 내년까지도 긴축을 할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기정 사실화 되었다. 연준에서 긴축을 시작하면 미국 외 모든 국가들도 긴장을 하고 긴축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때 긴축이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만큼 되는지를 이해하고 트래킹한다면 투자 시장에서 누구보다 빠르게 시장의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글을 정리하게 되었다. 용어 정리 레포(Repurchase Agreement): 우리말로 환매조건부 채권이라고 불린다.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확정금리를 보태 되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주로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쉽게 말해 시중 은행이 연준에게 채권을 맡기고 그에 상응하는 돈을 빌리는데 이때 연준에서 시.. 2022. 11. 28.
[Nodejs] use strict 오픈소스 코드들을 보면 맨 첫 줄에 'use strict' 라는 코드를 종종 봤을 것이다. use strict는 코드 상에서 느슨한 모드보다 엄격한 모드를 강제하는 방법이다. 보다 엄격하게 Parsing 및 Error handling 을 강제함으로써 코드 상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장점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코드의 문제를 오류를 통해서 빠르게 알 수 있으므로 디버깅이 쉬워진다. 2. JavaScript 엔진의 최적화 처리를 어렵게 만드는 오류를 수정하면서 동일 코드보다 더 빠르게 JS 엔진을 실행할 수 있다. 3. 미래에 ECMAScript로 정의될 예정 구문을 금지하면서 향후 발생 가능한 에러를 예방한다. 2022. 11. 26.
[Nodejs] NPM npm? 자바스크립트의 패키지 관리자이다. --save? 여러 포스팅을 보면 아래와 같이 "--save"를 붙히는 경우가 많다. npm install 라이브러리 --save 필자도 그냥 남들이 그렇게 쓰니까 뭐 저장에 필요한 무언가겠지?라고 생각하며 썼는데 Nodejs에 완전하게 입문하고 나서는 마음이 바뀌었다. 하나라도 왜 그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급작스럽게 궁금해졌다. --save는 알아보니 package.json의 dependency 항목에 라이브러리 항목을 추가한다는 의미였다. 이로써 node_modules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package.json에 기록된 대로 다시 기존에 있던 것과 그대로 의존성을 다운받을 수 있다. 2022. 11. 26.
Funding Fee를 이용한 트레이딩 꿀팁 - SUN 토큰 지난 시간에는 Funding Fee와 Funding Rate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Funding Fee를 이용한 트레이딩 꿀팁에 대한 글을 써보려 한다.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고자 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를! https://dev-stocker.tistory.com/10 암호화폐 시장의 Funding Fee(펀딩비)와 Funding Rate(펀딩 비율) 소개 및 분석 Funding Fee(펀딩비)와 Funding Rate(펀딩 비율)? Funding Fee(펀딩비)는 선물 시장에만 존재하며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 즉 적정 가격에 다다르기 위해 롱 홀더가 숏 홀더에게 혹은 숏 홀더가 롱 홀더에게 dev-stocker.tistory.com 시작에 앞 서 Funding Rate 를 한 눈에 볼 .. 2022. 7. 24.